반응형 Colorful Moment/IT News35 [IT 소식] 인텔 '2027까지 1.4mm 공정 도입' 선전포고 IT 소식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 인텔이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영역에도 본격 진출한다고 선언했습니다. 현재 최신 반도체는 3mm 공정 반도체로, 4mm 반도체보다 전력 효율은 30%, 속도는 30%가 개선되었다는데요. 인텔은 회로의 폭이 3mm보다 더 얇은 1.4mm 초미세 공정을 2027년 도입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인텔은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미국 기업인 데다,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입니다. TSMC와 현재 파운드리 투자를 늘리고 있는 삼성전자는 추후 물량 확보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직접 기사를 읽고 요약했습니다. ) 개인 생각 주식을 하지 않지만 1년 전 반도체 회사와 파운드리 회사에 주식을 넣었다면 내 잔고는 어땠을까? 생각해 봅니다.^^; (주식은 앞으로도.. 2024. 2. 22. [IT 소식] 포스코DX, AI 활용해 택배 분류 자동화 시스템 구축 기사 요약 오는 20일, 포스코 DX가 국내 최대 규모인 한진 스마트 허브를 대상으로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합니다. 시스템 구축에만 3년 5개월이 소요되었다고 하네요. 포스코 DX는 자체 개발 영상 인식 AI를 기술을 통해, 80개의 하차라인에 작업자를 배치해 수행하던 물류 작업을 자동화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AI가 물량이 몰리는 시간을 파악하고 물량을 조정하고, 스마트 독관리시스템(DMS)이 30분 단위로 차량 운전자에게 입고 가능 시간을 사전에 알려준다고 합니다. 개인 생각 AI를 활용한 물류 공장 자동화 소식을 들으니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고 걱정과 염려도 듭니다. 사람이 하기 어려운 투박한 일뿐만 아니라, 섬세한 작업들도 시스템이 척척 진행하는 추세니 과연 미래에는 어떤 일을 하며 먹고살아.. 2024. 2. 21. [IT 소식] 정부, 취약 계층에 디지털 복지 '무료 OTT' 제공한다 기사 요약 정부가 OTT 소외 계층을 최소화하기 위해 토종 OTT들에게 바우처 협조를 요청했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 계층에게 'OTT 이용권' 과 같은 디지털 복지 혜택을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해당 OTT 이용권은 원하는 플랫폼에 등록해 사용하는 방식일 전망이다. 참여 회신한 OTT는 티빙, 웨이브, 왓챠가 있다. 정부가 내놓은 디지털 복지 방안에 우려하는 목소리들도 있다. 이 일을 시작으로 OTT 서비스에 정부 차원의 간섭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전국 기초생활수급자 5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했기에 가격 부담에 대한 타격이 크지는 않지만, 비용 부담은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에 전가될 것으로 관측된다. 과기정통부가 통신 3사에게 4억 원 규모의 사업 운영비를 요청.. 2024. 2. 17. [IT 소식] 中 e커머스 알리 익스프레스, 한국에서 당일 배송 선전포고 국내 e 커머스 기업 쿠팡, 네이버보다 반의반 값으로 물품을 판매한다는 알리 익스프레스. 저렴한 가격이 갖는 강점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당일, 새벽 배송' 시스템이 주는 이점을 이기긴 어려웠다. 원래 한 달 정도 걸리던 배송 기간을 지난해 중반 들어 줄였다고는 하나 1주일이 걸렸기 때문이다. 그런데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연내 한국에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배송 기간을 하루로 줄이겠다고 공언했다. 알리가 이런 선전포고를 한 이유는 '경기 불황' 때문이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내수만으로 버티기 어렵게 되자 해외 시장에 대해 눈을 돌린 것이다. 이미 알리는 작년부터 평택항과 가까운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 옌타이에 '한국행 전용 물류센터'를 지었다고 한다. 이곳에 제품을 보관하고 있다가 주문이 들어보면 바로 배로 .. 2024. 2. 16. [IT 소식] 올해 주가 상승세를 보이는 카카오, 서비스에 '코GPT'말고 해외 AI 모델도 고려 카카오는 지난 10월 공개 예정이었던 LLM 코GPT2.0를 출시하는 대신, 작년 12월 AI를 활용한 카카오톡 메시지 요약, 말투 바꾸기 기능을 도입한 바 있습니다. 카카오가 카카오톡에 일부 기능만 우선 선보이는 것은 기업-소비자간 거리(B2C) 영역에서 성과를 내기 위함입니다. 이 때문에 카카오는 자사 서비스에 코GPT2.0 기능뿐만 아니라 해외 AI 모델을 도입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카카오는 AI, 헬스케어, 클라우드 등 3개 신사업 부문에 투자하느라 2203억원 손실을 입었지만 올해는 손실 규모를 줄일 수 있다고 예상합니다. 카카오는 지난해와 달리 올해 들어서 양호한 실적을 발표했는데요. 실적 개선세가 당분간 계속될 거란 전망에 카카오 주가는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현재 2월 1.. 2024. 2. 16.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