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lorful Moment/IT News

[뉴스기사] 글로벌 국방 AI 시장 전망

by 뒹굴거리는프로도 2024. 11. 14.
반응형

 


 중국 군사 과학원 연구원들이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인공지능(AI) 모델 '라마'를 활용하여 군사용 AI 챗봇 '챗비트'를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메타의 사용 규정인 '군사용 활용 금지'에도 불구하고 가능했던 것은 라마가 오픈소스로 제공되기 때문입니다. 한편, AI 군비 경쟁은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치열해지고 있으며, 미국의 주요 AI 기업들도 국방부와 협력하여 군사적 목적의 AI 활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출처. 한국경제신문]

 

 예를 들어, 앤스로픽과 팰런티어테크놀로지스는 미국 정부와 협력하여 국방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각각 정보 처리와 전장 상황 인식에 도움을 주는 AI 기술들입니다. 반면, 구글의 경우 내부 직원들의 반대로 인해 AI의 군사화 진행이 느리다고 알려졌습니다.

 국방 AI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이를 활용한 혁신적인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정부는 국방 버전 챗GPT인 '국방생성형 AI'를 개발하여 내부망에서만 사용하도록 하였고, 국방 AI 센터를 통해 민간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을 열어주고 있지만, 동시에 AI 오용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국의 국방부와 협력하는 AI 기업들은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는 향후 AI 기술의 발전 방향과 정책 결정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397331

 

'전쟁 AI' 안 만든다더니…금기 깬 중국 정부에 '발칵'

'전쟁 AI' 안 만든다더니…금기 깬 중국 정부에 '발칵', DEEP INSIGHT '전쟁 AI' 안 만든다더니…슬쩍 레드라인 넘은 빅테크 금기 깨고 국방까지 영역 확장 'AI 군사적 사용 불가'는 옛말 오픈AI, 관련조

www.hankyung.com

 

반응형